안녕하세요.
탑석센트럴치과 대표원장 곽승원입니다.
상악동 거상술(Sinus Lift)은 상악 후방 어금니 부위의 뼈가 부족해
임플란트를 식립할 자리가 없을 때 시행합니다.
상악동은 얇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천공될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경우 어떻게 해결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초진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초진

엑스레이를 보니 상악에 치아가 하나도 없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해당 부위의 뼈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흡수되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임플란트를 심는 것이 좋습니다.

틀니를 사용할 수 있지만 임플란트를 선택하는 이유는
기능적, 미적인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임플란트는 치아를 대체하는 인공 뿌리는 뼈에 심는 방식으로,
자연치와 같이 뼈와 결합해 매우 안정적이고 자연스러운 저작 기능을 제공합니다.
반면, 틀니는 고정되지 않고 잇몸에 올리기 때문에
씹는 힘이나 안정성에서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음식을 먹을 때 틀니가 움직이거나 흔들릴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 불편을 겪을 수 있죠.
엑스레이 촬영 진행

안정성과 저작 기능, 편안함을 고려해 임플란트를 심기 위해
엑스레이 촬영을 진행합니다.
오랜 기간 틀니 착용으로 남아있는 뼈의 양이 다소 부족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악동 거상술 및 골이식이 필요해 보이는 상황입니다.

CT 촬영을 통해 임플란트를 심을 뼈의 밀도와 두께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골이식과 상악동 거상술과 같은
추가 처치의 여부를 결정합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특히 상악 후방 어금니에 심을 때는
상악동과의 근접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수술 중 예상치 못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치과 공포증이 있다면?

수술에 대한 공포와 부담감이 있다면 케타민과 미다졸람을 이용한
의식하 진정요법을 통해 수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치료 중 의식을 잃지 않도록 하면서도
심리적인 불안과 신체적인 불편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때 의료진은 각 약물의 특징과 환자의 상태를 고려해
환자에게 맞는 안전한 방식을 선택해야 됩니다.
상악동 거상술 진행 중 천공이 되었다면?

측방 접근법으로 상악동을 거상하던 중 천공이 된 모습입니다.
이는 골이 흡수된 부위나 상악동막이 얇을 때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며
이 부위로부터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추가 처치가 필요하게 됩니다.

제가 준비한 케이스는 먼저 멤브레인을 이용해 천공된 부위를 보수했습니다.
콜라겐 멤브레인은 치유를 촉진하고
골이식 재료가 상악동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멤브레인은 천공된 부위에 알맞게 고정이 되어야 하며
과도한 움직임이 없도록 해야 됩니다.


멤브레인 위로 인공뼈를 이식해 뼈가 부족한 부위를 보강합니다.
그 위로 다시 한번 차폐막을 덮어 골이식 재료가 퍼지지 않도록 막아줍니다.
골이식 후에는 치유 시간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4~6개월 동안 새로운 뼈와 결합되며
안정적인 치유가 이루어지길 기다립니다.
엑스레이를 통해 골이식 부위 확인

제가 노란색의 동그라미로 표시한 부분이 골이식을 진행한 곳이며
이곳은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 뼈와 점차 융합되기 시작합니다.
오늘과 같은 경우에는 바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보다
이렇게 치유 기간을 기다렸다 지연식립을 하면
안정성이 높아지며 치료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후 경과 관찰을 하며 어느정도 치유가 되었을 때
임플란트를 심어 치아 상실의 불편을 해소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오늘 제가 준비한 내용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지금까지 탑석센트럴치과 대표원장 곽승원이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치료기간 : 2025.07.05~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