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신경치료 후 통증, 의정부 용현동 치과 발치 후 임플란트 수술 과정

  • Post category:임플란트
You are currently viewing 치아 신경치료 후 통증, 의정부 용현동 치과 발치 후 임플란트 수술 과정

안녕하세요,

의정부 용현동 치과

대표원장 곽승원입니다.

신경치료 (endodontic treatment, 엔도)는

치아 내부에 감염된 치수를 제거하고,

근관을 깨끗이 소독한 후 밀봉하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엔도를 받은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어

많은 분들께서 걱정하는데요.

▮ 1. 왜 계속 아픈 걸까요?


🦷 잔여 감염

치아 내부 치수가 있는 근관이

완전히 소독되지 않거나,

보이지 않는 작은 균열 속에

세균이 남아 있으면

염증이 지속될 수 있는데요.

🦷 충전 불량

근관 충전이 부족하면

미세한 틈 사이로 감염이

퍼질 위험이 높아지게 되죠.

🦷 과도한 염증 반응

특히 치근 끝부분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지속적으로 아플 수 있습니다​.

🦷 신경치료 후 잔여 치수 자극

더불어, 주변 조직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아플 수 도 있죠.

이처럼 여러 가지 이유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데요.

오늘 의정부 용현동 치과 에서는

이러한 문제로 인해

결국 자연치를 발치하고

임플란트 수술 을 받은 분의

진료 과정을 살펴보며,

어떻게 개선해 드리고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 2. 치통이 너무 심해요.

많이 말씀하시는 C.C


환자께서는

이를 듣고 구강 내 검진을 진행해 본 결과,

오른쪽 아래 큰 어금니(46번, 47번)

2개 모두 과거 신경치료 를 받은 적이 있었습니다.

엑스레이를 촬영해 보니,

2개의 어금니 모두 엔도가 미비해 보였는데요.

특히 46번 주변으로는

염증으로 인해 골소실 양상도 확인되었습니다.

정밀한 검진을 위해

치근단 엑스레이 촬영을 해본 결과,

치아 뿌리(치근)가 나눠지는

뿌리 쪽에는 염증으로

방사선 투과 상도 보이고 있었습니다.

더불어, 두 어금니 모두

보였는데요.

특히 46번의 경우

추가로,

치통의 원인이 되는 어금니를 특정하기 위해

저작 및 타진 검사를 시행해 보니

46번에서만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셨습니다.

이를 확인한 의정부 용현동 치과 에서는

문제점을 설명해 드린 뒤 상담을 통해

46번에 대한 처치 후

47번은 예후 관찰하기로 하였습니다.

▮ 3. 계획

46번의 처치로는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수기구를 이용해 치은 하방 염증과 치석을

긁어내고 새로운 치은을 유도하는 진료로,

병소 조절 후 예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오래전 신경치료가 된 자연치의 경우

46번의 경우

더불어, 이 케이스의 환자께서는

극심한 통증을 느끼고 계셨기에

이를 뺀 뒤 픽스처 식립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통상적으로

골 소실이 심하거나 뼈가 부족한 경우,

발치 후 일정 기간

치은과 뼈가 회복될 때까지 기다린 후

픽스처를 식립하게 됩니다.

다만, 이 케이스와 같이

따라서, 의정부 용현동 치과 에서는

이를 설명해 드린 뒤

즉시 식립하는 것으로 계획하였습니다.

4. 과정

구강 내 단계별 마취 시스을 통해

마취 중/후에 통증이 없도록

세심히 마취를 진행하였는데요

감각이 둔해진 것을 확인한 뒤

이를 빼내었습니다.

그 결과, 남아있는 조각 없이

말끔히 정리되었습니다.

약간의 뼈이식을 동반하여

픽스처가 잘 고정될 수 있도록

진행해 드렸습니다.

이제 3개월 정도

뼈와 식립한 픽스처가 견고하게

유착되기를 기다렸다가

맞춤형 지대주와 크라운을

제작해 드렸는데요.

위 케이스의 경우

이후로도 정기 검진만을 받으시면서

잘 사용하고 계십니다ㅎㅎ


오늘 소개해 드린 케이스는

치아 신경치료 후 통증 으로

발치 후 임플란트 수술 과정이었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로

고민하고 계신 분들께서는

정밀한 검진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여

개인의 구강에 딱 맞는 진료를 해주는 곳에서

고민을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경기도 의정부 용현동

탑석역 1번 출구 바로 앞에

탑석센트럴 치과 개원을 앞둔

대표원장 곽승원이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