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석 치과 치아 깨짐으로 인한 신경치료 중단한 어금니 진료 케이스

  • Post category:보존치료
You are currently viewing 탑석 치과 치아 깨짐으로 인한 신경치료 중단한 어금니 진료 케이스

안녕하세요,

탑석 치과 원장 곽승원입니다.

신경치료(엔도)는

치아 내부의 감염된 치수를 제거하고,

깨끗이 소독한 후 근관을 밀봉하여

이를 보존하는 과정입니다.

보통 충치가 깊어 치수까지 감염되었거나,

외상으로 인해 치수가 손상된 경우 시행합니다.

그러나 이 진료는

한번 시작하면 반드시 끝까지 완료해야 되며,

엔도는 진료가 중단되거나,

도중에 문제가 나타나게 되면

감염이 재발할 위험이 커지고,

결국 발치를 해야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탑석 치과 에서

이와 관련된 내용으로

예시 사진을 보면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 구강 내 모습

20250220

정면에서 촬영한 모습을 보면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20250220

20250220

교합면에서 보았을 때는

20250220

이런 경우 이가 약해져 있는 상태이기에

진료를 완료하지 않으면

그 이유는 과정 사이사이 가봉해두는

임시 재료가 완전히 밀폐하지 못하므로

열심히 소독하고 진료를 받은 근관이

재 감염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2. 왜 이가 깨지는 걸까?

이것을 받게 되면

근관 속에 있는 미세 혈관을 제거하게 되기에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게 되기에

점점 푸석해지고 약해지게 됩니다.


📌 이가 깨지는 주요 원인

✅ 진료가 중단되어
가봉(임시재료) 상태로 장기간 방치됨

✅ 신경치료 후 크라운을 씌우지 않아
치아머리(치관)가 약해짐

✅ 지속된 교합 압력으로 인해
엔도 한 이가 점진적으로 파절됨


초진 사진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탑석 치과 에서

진료를 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3. 진료를 할 수 있는 방법

그 방법은 다시 신경치료를 하는 겁니다.

더불어, 레진 코어로 보강한 뒤

크라운 수복을 해야 됩니다.

이제부터 탑석 치과 에서

이러한 방법으로 개선을 하였을 때

진료 과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3. 진료 과정

먼저 환자의 증상을 확인하고

국소 마취를 진행합니다.

신경을 제거하는 과정이기에

꼼꼼한 마취가 필요합니다.

이후 감각이 둔해진 것을 확인한 뒤

치수를 제거하였으며,

근관을 확장하고 세척 및 소독을 진행합니다.

20250225

이후 거타퍼챠와 MTA를 활용하여

근관을 꼼꼼히 밀봉해

재감염을 방지합니다.

이후 레진 코어를 이용하여 보강해

지대치를 형성해 준 뒤

본뜨기를 진행합니다.

본뜨기를 하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 진료 후 주의해야 될 사항


치료 후 일정 기간 동안

과도한 저작 주의 (특히 단단한 음식)

크라운을 씌우기 전까지는 교합력 조절

정기 검진을 통해 치아 상태 점검

✅ 엔도를 중단하면

발치로 이어질 수 있으니,

끝까지 진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케이스처럼 엔도가 중단되거나,

이가 약해져 깨지는 경우

재감염 및 발치의 위험이 커집니다.

따라서 신경치료 는

반드시 끝까지 진행해야 되며,

크라운을 씌워 이를 보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와 관련된 의학정보가 필요하셨던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탑석 치과 의사 곽승원이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치료 기간 : 20250220~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