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탑석 치과 원장 곽승원입니다.
신경치료(엔도)는
치아 내부의 감염된 치수를 제거하고,
깨끗이 소독한 후 근관을 밀봉하여
이를 보존하는 과정입니다.
보통 충치가 깊어 치수까지 감염되었거나,
외상으로 인해 치수가 손상된 경우 시행합니다.
그러나 이 진료는
한번 시작하면 반드시 끝까지 완료해야 되며,
엔도는 진료가 중단되거나,
도중에 문제가 나타나게 되면
감염이 재발할 위험이 커지고,
결국 발치를 해야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탑석 치과 에서
이와 관련된 내용으로
예시 사진을 보면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 구강 내 모습

20250220
정면에서 촬영한 모습을 보면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20250220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엔도를 받고 있는 중인 어금니가
존재했습니다.

20250220
교합면에서 보았을 때는
왼쪽 아래 첫 번째 어금니의 단면이 거칠한 게
진료 도중 깨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0250220
이런 경우 이가 약해져 있는 상태이기에
진료를 완료하지 않으면
추가적인 파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이유는 과정 사이사이 가봉해두는
임시 재료가 완전히 밀폐하지 못하므로
열심히 소독하고 진료를 받은 근관이
재 감염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2. 왜 이가 깨지는 걸까?
이것을 받게 되면
근관 속에 있는 미세 혈관을 제거하게 되기에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게 되기에
점점 푸석해지고 약해지게 됩니다.
📌 이가 깨지는 주요 원인
✅ 진료가 중단되어
가봉(임시재료) 상태로 장기간 방치됨
✅ 신경치료 후 크라운을 씌우지 않아
치아머리(치관)가 약해짐
✅ 지속된 교합 압력으로 인해
엔도 한 이가 점진적으로 파절됨
그렇게 약해진 치아머리는
쉽게 깨지고 부러질 수 있기에
엔도 종료 후 크라운 수복을 통해
이를 보호해 주어야 됩니다.
초진 사진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탑석 치과 에서
진료를 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3. 진료를 할 수 있는 방법
그 방법은 다시 신경치료를 하는 겁니다.
새롭게 근관의 길이를 측정하고 깨끗이 소독하여
MTA 약제로 충전하며
진료를 하는 것이 좋다 판단했습니다.
더불어, 레진 코어로 보강한 뒤
크라운 수복을 해야 됩니다.
이제부터 탑석 치과 에서
이러한 방법으로 개선을 하였을 때
진료 과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3. 진료 과정
먼저 환자의 증상을 확인하고
국소 마취를 진행합니다.
신경을 제거하는 과정이기에
꼼꼼한 마취가 필요합니다.
더불어, 마취를 진행하였을 때
받는 사람의 하여금 통증과 두려움을 줄이기 위해서는
도포마취와 무통 마취기를 사용하여
마취를 하는 과정까지
통증이 적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후 감각이 둔해진 것을 확인한 뒤
치수를 제거하였으며,
근관을 확장하고 세척 및 소독을 진행합니다.

20250225
이후 거타퍼챠와 MTA를 활용하여
근관을 꼼꼼히 밀봉해
재감염을 방지합니다.
이후 레진 코어를 이용하여 보강해
지대치를 형성해 준 뒤
본뜨기를 진행합니다.
본뜨기를 하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기존에 찰흙과 같은 인상재를 활용하여
본을 뜨는 방법과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기로 인상채득을 할 수 있습니다.
📌 진료 후 주의해야 될 사항
✔ 치료 후 일정 기간 동안
과도한 저작 주의 (특히 단단한 음식)
✔ 크라운을 씌우기 전까지는 교합력 조절
✔ 정기 검진을 통해 치아 상태 점검
✅ 엔도를 중단하면
발치로 이어질 수 있으니,
끝까지 진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케이스처럼 엔도가 중단되거나,
이가 약해져 깨지는 경우
재감염 및 발치의 위험이 커집니다.
따라서 신경치료 는
반드시 끝까지 진행해야 되며,
크라운을 씌워 이를 보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와 관련된 의학정보가 필요하셨던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탑석 치과 의사 곽승원이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치료 기간 : 20250220~20250225